상하이 비즈니스 환경, 세계은행으로부터 인정받아​​

korean.shanghai.gov.cn
9ae6a315ea9554b925dd9dc1b596643b.jpg
상하이 루자쭈이(陸家嘴) [사진 출처: VCG]

최근, 세계은행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2025년 중국 기업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보고서에 포함된 비즈니스 환경 관련 59개 평가 항목 중 상하이가 글로벌 최고 수준에 도달한 항목은 22개에 달했다. 상하이가 글로벌 최고 수준에 도달한 항목 수는, 2023년 세계은행 '비즈니스 환경 성숙도 평가'에서 1위로 선정된 경제체인 싱가포르를 넘어선 것이다.

2023년부터 세계은행은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 평가 방법론인 '비즈니스 환경 성숙도 평가'를 도입하여 전문가 조사와 기업 조사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 세계 주요 경제체의 비즈니스 환경 수준을 측정하고 있다. 2023년, 세계은행은 첫 번째 평가 대상 경제체의 비즈니스 환경 성숙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으며,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했다. 이번에 발표된 2025년 중국 기업 조사 보고서는 두 번째 평가 대상 경제체의 비즈니스 환경 성숙도 평가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향후 발표될 전문가 조사 보고서와 함께 완전한 결과를 이룰 예정이다.

세계은행의 비즈니스 환경 성숙도 평가는 정량적인 방식으로 가장 직관적으로 각 경제체의 비즈니스 환경 발전 수준을 반영하며, 세계 주요 경제체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중국 기업 조사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다수 평가 항목이 이미 글로벌 최고 수준에 도달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하이의 성과가 눈부시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력 공급의 신뢰성 측면에서 상하이 기업이 작성한 정전 횟수와 정전 시간 모두 0회로, 글로벌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모든 기업 운영에 필수적인 인프라로서 전력은 비즈니스 환경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이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하루라도 빨리 전력이 공급되면 하루라도 빨리 생산에 착수할 수 있어 사실상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기업 생산의 필수 보장 요소이기도 하다. 보고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이 기업들이 보고한 정전 횟수와 정전시간은 모두 0회로, 이는 상하이의 전력 공급이 글로벌 선진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그 배경에는 상하이의 지속적인 전력 인프라 개선, 전력 수급 능력 향상뿐 아니라, 관련 부서들이 기업에 전력 공급, 수급 조정, 점검 등의 측면에서 제공한 세심한 서비스가 있다.

전력 신뢰성뿐만 아니라, 이번 상하이의 총 22개 평가 항목이 글로벌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금융 서비스 접근성 측면에서는 전자결제 수수료는 0원이었고, 시장의 공정한 경쟁 측면에서는 세계은행이 기업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교체에 대한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상하이 기업의 해당 항목 체감도 점수는 96.2점이었다. 상업 분쟁 해결 측면에서는 상하이의 상사 조정 대체 가능성 점수가 100점을 받는 등 다양한 항목에서 모두 글로벌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 외에도, 세금 신고 시간, 대출 신청 소요 시간, 인터넷 안정성, 중재 대체 가능성, 정부 조달 및 입찰 편의성 등의 평가 항목에서도 상하이는 글로벌 선두 수준에 도달했다.

세계은행이 수행한 중국 기업 조사는, 전문 기관이 세계은행의 층화 표본 추출법을 적용해 중국 내 2,189개 기업의 경영자 또는 고위 관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로, 높은 권위를 가진다. 상하이의 기업 조사 결과는, 상하이시가 국제 통용 기준을 따르고 제도 규칙을 최적화하며, 정부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기업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충분히 보여준다.

최근 몇 년간 상하이는 비즈니스 환경 개혁을 지속적으로 심화하고 있으며, 매년 새로운 버전의 비즈니스 환경 행동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공개된 '비즈니스 환경 최적화 행동방안 8.0'에서는 '기업 체감도'를 핵심 키워드로 삼고, 동시에 세계은행 기준에 맞춰 시장 진입, 영업장 확보, 공공 인프라 서비스, 노동 고용 서비스, 금융 서비스, 국제 무역, 세금 납부, 상업 분쟁 해결, 시장 경쟁 촉진 등 10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개선을 추진하고, 세계 일류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원문 출처: 인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