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 규제성 세부 계획 승인

korean.shanghai.gov.cn
东方枢纽.png
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의 렌더링 [사진 출처: 상하이시 기획·자연자원국]

'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 규제성 세부 계획'이 최근 승인을 받아, 국제비즈니스 협력구 건설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 이 계획은 공간 설계와 제도 혁신의 협동을 통해 해당 지역 내에서 글로벌 자원 요소들의 집적과 효율적 배치를 촉진할 것이다.

계획 면적 0.88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는 푸둥국제공항(浦東國際機場)과 상하이동역의 '항공・철도 연계 운송'이라는 이점을 기반으로 더 높은 수준의 크로스보더 비즈니스 규칙과 편의화 정책을 시범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 관리국 자오펑(趙峰) 부국장은 "중국 최초로 인원, 수하물, 화물의 반출입에 동시 편의를 제공하는 특수 기능구로서, 계획 수립 초기부터 협력구는 전통적인 중앙비즈니스지구(CBD)의 고정된 모델을 타파하고자 했으며, 구역 내에는 '모듈식 그리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각 공간 단위가 유연하게 재구성될 수 있도록 해, 미래 산업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적' 생태권을 형성하게 된다"고 소개했다.

소개에 따르면, 국제비즈니스 협력구가 가동되면, 경외 인원이 국제 또는 지역 항공편을 통해 푸둥국제공항에서 해당 구역으로 입장할 때 중국 비자를 비롯한 입국 허가를 확인할 필요 없이, 비즈니스 협력구 종합관리기관에 등록된 유효한 초대장을 통해 30일간 체류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연장도 가능하다.

계획에서는 또한 '개방과 편의' 및 '리스크 통제관리'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출지를 더욱 명확히 했는데, 스마트하고 비접촉식의 리스크 통제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안전을 보장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인원과 물자 이동 과정에서의 장애와 불편을 최대한 줄이도록 설계했다.

현재, 상하이 동방허브 국제비즈니스 협력구의 각종 건설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선행 시범 운영 구역의 폐쇄형 검수를 마치고 기본 기능의 본격 운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