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인덱스 2025 연구 리더 순위: 중국, 1위 유지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 출판 기관인 슈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는 지난 6월11일, 네이처 인덱스 2025 연구 리더 순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계속해서 1위를 유지했으며, 과학 연구 성과 면에서의 선도적 우위를 확대했다.
이번 순위는 2024년 한 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으며, 데이터셋은 자연과 건강 과학 분야의 145개 학술지에서 출판된 대량의 주요 과학 연구 논문들을 포함한다. 중국의 점유율은 3만 2,12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7% 증가했다. 점유율은 과학 연구에 대한 저자의 고품질 기여도를 보여주는 네이처 인덱스의 핵심 지표이다. 미국이 2만 2,083건으로 2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독일, 영국, 일본, 프랑스가 이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글로벌 기관 10위권 중 하버드 대학교(2위)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9위)를 제외한 나머지 8개 기관은 모두 중국 기관이다. 중국과학원은 계속해서 1위를 유지했으며, 중국과학기술대학교와 저장대학교(浙江大學)는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그 외 10위권 기관으로는 베이징대학교(5위), 중국과학원 대학교(6위), 칭화대학교(清華大學, 7위), 난징대학교(南京大學, 8위), 상하이교통대학교(10위)이다.
이 밖에, 아시아 국가들의 전반적인 우세가 드러났다. 한국은 종합 순위에서 7위로 올라서며 캐나다(8위)를 넘어섰고, 인도는 여전히 9위를 유지했다. 이전까지 우위를 점하던 서방 국가들은 조정 후의 점유율은 2년 연속 하락을 보였으며, 캐나다, 프랑스, 스위스, 영국, 미국은 모두 최소 7% 이상 하락했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독일은 3% 미만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 데이터는 글로벌 과학 연구 지형의 심오한 변화를 반영한다." 네이처 인덱스 편집장 사이먼 베이커(Simon Baker)는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고품질 연구 성과의 빠르고 꾸준한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물리학 및 화학학 등 분야에서는 이미 이전에 선두를 달리던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을 크게 앞질렀다"라고 평가했다.
네이처 인덱스 과학 연구 리더 순위는 매년 전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되며, 네이처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의 일부이다.
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