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의 행정구역

korean.shanghai.gov.cn| 2025-09-12

춘추시대(春秋時代, 기원전 770~476년)와 전국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75~221년) 당시, 오늘날의 상하이 지역은 오나라(吳國)와 이후의 월나라(越國) 등 여러 나라의 영토에 속해 있었다. 당나라(618~907년)부터 1958년까지 상하이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뉘어 행정 체제가 운영됐다.

먼저 오송강(吳淞江) 남쪽 지역이다. 당나라 천보(天寶) 10년(751년)에 화정현(華亭縣)이 설립되면서 상하이 최초의 독립적인 현급 행정 단위가 마련됐다. 원나라 지원(至元) 14년(1277년), 화정현이 화정부(華亭府)로 승격됐다가 이듬해 송강부(松江府)로 개편됐다. 청나라(1644~1911년) 시기에는 송강부는 화정현, 상해현(上海縣), 청포현(青浦縣), 누현(婁縣), 봉현현(奉賢縣), 금산현(金山縣), 남회현(南匯縣), 그리고 천사부민청(川沙撫民廳)을 관할했다.

다음은 오송강 북쪽 지역이다. 남송(南宋) 가정(嘉定) 10년 음력 12월 9일(1218년 1월 7일)에 가정현(嘉定縣)이 설치됐고, 이후 그 일부가 분리되어 보산현(寶山縣)이 됐다.

세 번째는 창장(長江) 하구의 섬 지역이다. 당나라 무덕(武德) 연간에 창장 하구에 모래톱이 드러나면서 원나라 지원 14년에 숭명주(崇明州)가 설치됐다. 명나라 홍무(洪武) 2년(1369년)에는 숭명현(崇明縣)으로 개편됐다. 오늘날 상하이의 기원인 상해현은 본래 상해진(上海鎮)으로, 남송 경정(景定) 말기부터 함순(咸淳) 초기까지 존재했다. 원나라 지원 29년(1292년)에 상해진은 현으로 승격됐으며, 1927년 상하이 특별시로 지정됐다가 1930년 상하이시로 개칭됐다.

청나라 도광(道光) 23년(1843년), 상하이는 개항됐고, 1845년에 영국 조계가 상하이에 설치됐다. 이후 1943년까지 상하이에는 영국과 미국 조계(훗날 공공조계·公共租界로 합병), 그리고 프랑스 조계가 잇따라 형성됐다. 이들 조계는  행정·사법·경제 활동에 있어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1949년 5월 27일 상하이가 해방된 뒤에는 황푸(黃浦), 라오자(老閘), 신청(新成), 징안(靜安), 장닝(江寧), 푸퉈(普陀), 이먀오(邑廟), 펑라이(蓬萊) 등 20개 도심 지역과 신스(新市), 장완(江灣), 우쑹(吳淞), 다창(大場) 등 10개 교외 지역으로 나뉘었다. 이어 1958년에는 장쑤성(江蘇省) 관할의 상하이, 자딩(嘉定), 바오산(寶山), 촨사(川沙), 칭푸(青浦), 난후이(南匯), 쑹장(松江), 펑셴(奉賢), 진산(金山), 충밍(崇明) 등 10개 현이 상하이에 편입되면서 오늘날의 직할시 체제가 자리잡았다. 당시 상하이는 10개 구(區)와 10개 현을 관할하게 됐다.

2024년 8월 상하이시 민정국 통계에 따르면, 현재 상하이는 푸둥신구(浦東新區), 황푸, 징안, 쉬후이(徐匯), 창닝(長寧), 푸퉈, 훙커우(虹口), 양푸(楊浦), 바오산, 민항(閔行), 자딩, 진산, 쑹장, 칭푸, 펑셴, 충밍 등 16개 구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단위로는 총 108개 가도, 106개 진, 2개 향이 있으며, 5,004개 주민위원회와 1,553개 촌민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업데이트 시간: 2025년 9월 10일

 

원문 출처: 상하이 연감 2024, 상하이시 민정국, 2025 상하이 요람(2025 Shanghai Basic Facts, 上海概覽)